중국이 인공태양을 1066초 유지에 성공하며 핵융합 상용화에 다가섰습니다...!
현재 한국과 미국은 어디까지 온 걸까요? 핵융합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Chapter
0:00 중국 핵융합 신기록
2:08 핵융합의 원리
3:42 최근 연구 동향
5:48 중국 연구 성과
9:02 상용화와 관련주
11:02 중국과 미국의 경쟁
내용 출처
1. Chen Na, “Chinese Artificial Sun Sets Milestone Record towards Fusion Power Generation” Chinese Academy of Sciences, 2025
2. J.D.Moody et al, “Increased Ion Temperature and Neutron Yield Observed in Magnetized Indirectly Driven D 2 -Filled Capsule Implosions on the National Ignition Facility”, Physical Review Letters, 2022 (doi.org/10.1103/PhysRevLett.129.195002)
3. H. Abu-Shawareb et al, “Lawson Criterion for Ignition Exceeded in an Inertial Fusion Experiment”, Physical Review Letters, 2022 (doi.org/10.1103/PhysRevLett.129.075001)
4. H. Han et al, “A sustained high-temperature fusion plasma regime facilitated by fast ions”, nature, 2022 (doi.org/10.1038/s41586-022-05008-1)
5. 신아형, “미, 핵융합으로 순에너지 생산 성공… 상용화까진 글쎄”, 동아일보, 2022
6. 이덕주, “딥시크 쇼크에 미국 주식 AI버블 붕괴하나.. AI의 스푸트니크 모먼트”, 매일경제, 2025
7. 권숙희, “中연구소, '인공 태양' 1억도 1천초 넘겨 유지…세계 최초", 연합뉴스, 2025
8. 조승한, “중국 인공태양 1억2000만도 101초 유지 성공...앞선 한국 기록과 단순 비교는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2021
9. 주종국, “중국, 핵융합 기술 개발에 전력…미국의 두배 돈 쏟아부어”, 연합뉴스, 2024
10. 한국무역협회, “중국, 차세대 에너지 기술 핵융합 특허 1위…美 2위, 日 4위", 2023
BGM
1. Heros Anthem By Rotem Cinamon
2. Little Hero by Aleksey Chistilin
3. Timecode by Johnny Yates
4. Play with Fire by Rock n Stock
5. Moments by Roman P
DEEPSEEK >>
Q. 중국의 핵융합기술과 한국의 핵융합기술 중에서 어디가 앞서고 있지?
A. 중국과 한국은 모두 핵융합 기술 개발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으며, 각각의 연구 기관과 프로젝트를 통해 중요한 성과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중국이 핵융합 기술 분야에서 더 앞서 있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 중국의 핵융합 기술
- **EAST(Experimental Advanced Superconducting Tokamak)**: 중국은 EAST라는 초전도 토카막 장치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장치는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핵융합 실험 장치 중 하나입니다. EAST는 고온 플라즈마를 장시간 유지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는 핵융합 상용화를 위한 중요한 기술적 진전입니다.
- **ITER 프로젝트**: 중국은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ITER의 주요 부품 제작과 기술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ITER은 세계 최대의 핵융합 실험 프로젝트로, 성공적인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한국의 핵융합 기술
- **KSTAR(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한국은 KSTAR라는 초전도 토카막 장치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장치는 고성능 플라즈마 실험을 통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KSTAR는 고온 플라즈마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는 핵융합 기술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 **ITER 프로젝트**: 한국도 ITER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주요 부품 제작과 기술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ITER의 초전도 자석 및 진공용기 등 핵심 부품을 제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종합 평가
- **기술적 성과**: 중국은 EAST를 통해 고온 플라즈마를 장시간 유지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는 핵융합 기술 개발에서 중요한 이정표입니다. 한국도 KSTAR를 통해 유사한 성과를 이루었지만, 중국이 보유한 기술적 역량과 규모 면에서 약간 앞서 있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 **국제적 협력**: 두 나라 모두 ITER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핵융합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중국이 현재 핵융합 기술 분야에서 약간 앞서 있지만, 한국도 KSTAR를 통해 중요한 기술적 성과를 이루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격차를 좁히고 있습니다. 두 나라 모두 핵융합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는 미래 에너지 문제 해결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