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정산 등산코스8

[금정산 365일] 금정산등산코스 - 가산마을 기점. 가산마을-금정암-가산 능선-고당봉 | 금산리 기점. 금산-장군봉 행정구역상 양산시 동면 가산리에 속하는 중리와 복세, 사구막마을을 합쳐 가산마을이라 한다. 중리는 가산마을에서 가장 먼저 사람이 정착한 곳으로 호포성이 있을 당시 성병(城兵)과 치중대의 주둔지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복세마을은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양산천 끝부분으로 홍수가 나면 낙동강 상류에서 밀려든 복세가 이곳에서 머물러 마을에 항상 복세가 있는 마을이라 붙여진 지명이다. 또 사구막마을은 분청사기 도요지가 산 64-1번지 일대에서 확인되어 사기를 만드는 곳 또는 그것을 만드는 사람들이 살던 곳이라 하여 사구막 또는 사기막 등으로 불린데서 연유한다. 가산(架山)이라는 마을 이름은 낙동강 쪽에서 가산리를 쳐다보면 작은 능선 2개가 횡으로 가로지르고 있다. 이것이 마치 옛사람들이 살던 방안의 시렁과 같이 보여 .. 2023. 12. 11.
[금정산 365일] 금정산등산코스 - 미남역 기점. 동서산장맨션-약수터-만덕고개-석불사-상계봉 | 용수암-능선-만덕고개 갈림길-산어귀전망대-동래구민의 숲 미남이라는 마을을 에서는 찾아볼 수 없으나 방리조에는 서면 미남리(美南里)가 보인다. 미남리는 관문에서 6리 거리에 있다고 했다. 50여년 뒤에 편찬된 방리조에‘서면 관 하에 미남리(尾南里)가 있는데 관문에서 5리 거리에 위치한다’고 하였다. 에 의하면 서상면 미남리에는 당시 30호가 살았다. 미남이란 지명은 美南과 尾南으로 표기한다. 온천3동 파출소 동쪽 5〜7통 일대가 미남 본동이라 한다. 따라서 이곳을 중심으로 미남마을이 먼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미남마을은 1942년 10월 산저리의 일부와 합쳐 부산부 동래출장소의 온천2동이 되었다가 1957년 1월 동래구 온천2동, 1979년 1월 온천2동을 분동하여 온천3동이 생기면서 3동으로 편입되었다. 현재 미남로터리 미남우체국 미남빌딩 도시철도 미남역 .. 2023. 7. 25.
[금정산 365일] 금정산등산코스 - 부산대역 기점. 1. 부산대-고별대-동문 | 2. 부산대-삼밭골 약수터-대륙봉 | 3. 부산대 옆-삼밭골 다리 왼쪽-능선-대륙봉 남쪽 안부 부산대학교는 1946년 5월 15일‘진리의 전당, 자유의 요람, 봉사의 산실’이라는 교육이념을 바탕으 로‘진리 자유 봉사’의 정신으로 학술의 심오한 이론과 그 광범하고 정치한 응용방법을 교수 연구하여 국가 및 인류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를 양성한다는 교육 목표로 설립되었다.인문학부와 수산학부로 구성된 국립대학으로 같은 해 9월 24일 제1회 입학식을했다. 1947년 7월 수산학부를 부산수산대학으로 분리한 다음 1948년 문리 법학 상학부 등 3개 학부를 개설하고 1952년 3월 제1회 학위수여식을 했다. 국립학교 설치령에 따라 1953년 9월 15일 종합부산대학교로 설립인가되어 6개 단과대학을 거느리게 되었다. 1954년 11월 23일 효원신축교사 기공으로 금정산기슭의 장전동 캠퍼스시대가.. 2023. 5. 8.
[금정산 365일] 금정산등산코스- 장전역 기점. 1. 장전역-옥천사-장전 능선-벚나무 안부 | 2. 장전역-대진정보고-장전 능선-벚나무 안부 와 , 등에 모두 장전동이 북면 장전리로 나와 있는 것으로 보아 마을은 일찍부터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긴 화살이라는 의미의 장전(長箭)이라는 마을 이름은 금정산성 안의 죽전마을과 같이 화살을 만드는 대나무가 많이 생산되어 붙여졌다고 한다. 장전의 전(箭)자는 ‘이대’즉 시누대로 부산지방에서는‘시누대’라 부르고 중부 이남과 해안지방에 많이 자라 화살대 외에도 바구니와 조리 등을 만들기도 한다. 장전마을에서는 군기조의 장전(長箭)과 편전(片箭) 만들었거나 그 원료를 공급했던 것으로 보인다. 에 장전리는 북면 관내에 있으며 거리는 관문에서 10리라고 했다. 탁지부의 에 의하면 당시 장전리에는 23호가 살았다. 장전리는 한말(韓末)에 상리를 장전리로, 하리는 소정리로 2개 행정 리(里)로 분리되었다가 19.. 2023. 4. 20.
[금정산 365일] 금정산등산코스 - 두실역 기점. 1. 두실역-선경아파트309동 뒤 들머리-북쪽 능선-놋정약수터-제3망루 광장 | 2. 두실역-선경아파트309동 뒤 들머리-남쪽 능선-제3망루 광장 구서동(久瑞洞)은 조선시대에 구세리(仇世里)라 불리었으며 에‘구세리는 관문 에서 12리에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구세리는 대한 제국 때 구서와 두실 2개 리(里)로 나뉘었는데 당시 구서리는 25호, 두실리는 23호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구서(九瑞) 두실(斗實) 금단(琴端) 3개 자연마을을 합하여 구서리라 하여 동래군 북면에 속하게 하였다. 1985년에 구서마을 과 금단마을은 구서1동, 두실마을은 구서2동으로 분동되었다. ‘구서’라는 동(洞)이름은‘굿을 하는 동네’에서 비 롯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마을 서쪽 금정산 번우 암(翻雨岩)은 기우소(祈雨所)였는데, 거기서 자주 굿 판을 벌여 동네 이름이 구세가 되었으며 뒤에 뜻이 좋은 한자로 바뀌어 구서(久瑞)로 되었다는 것이다. 조선 말기에 편.. 2023. 3. 20.
[금정산 365일] 금정산등산코스 - 남산역 기점. 1. 부산외대-불광사-용락암 갈림길-삼거리-원효봉 능선 갈림길-습지-원효봉 북쪽 안부| 2. 부산외대-불광사-삼거리-은벽-원효봉 남산동은 조선시대부터 있었다. 이 지명은 가장 먼저 형성된 마을인 남산마을 의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아 집을 지으면 남향이어서 남산이라고 부른데 유래한다고 전한다. 또 이곳에는 범어사 사전(寺田)이 많아 절에서 볼 때 남쪽 산등성이에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남산동이라고 불렀다는 설도 있다. 이 동네의 토박이들은 임진왜란 후 남산 김씨의 9세대가 씨족마을을 형성하여 마을을 발전시 켰다고 전한다. 남산동에는 남산·남중·신암(新岩)의 3개 자연마을이 있었다. 남산마을은 지금의 1통과 14통 일대로 본동마을, 또는 큰 남산 안동네라고도 불렀다. 남산마을 조금 떨어진 작은 마을로 반 남산마을이 있었다. 신암마을은 석돌이 많아 석은덤이라고도 부르는데 신암은 한자식의 표기라고도 한다. 남중마을은 남산과 신암마을의 중간.. 2023. 3. 2.
[금정산 365일] 금정산등산코스 - 범어사역 기점. 7. 범어사역-만성암 입구-너럭바위-미륵불-대(大)바위-네거리-석문-원효봉 | 8. 범어사역-손씨 집-원효봉 우측 능선-습지-원효봉 북쪽 안부 등산.. 범어사역-만성암 입구-너럭바위-미륵불-대(大)바위-네거리-석문-원효봉 산 행 길 소요시간 약 2시간 범어사역 → 동아빌라 옆 → 남산봉 들머리 → 만성암(손씨집)앞 → 갈림길 → 능선 → 미륵불 → 대바위 → 갈림길(기존 등산로) → 갈림길(원효봉 능선길) → 석문 → 원효봉 ‘임도 보고 뽕도 딴다’는 말이 있다. 땀을 흠뻑 흘리며 능선을 오르다 지칠만하면 시원한 바람에 땀을 식히며 미륵불 앞에 무릎을 꿇고 소원을 빌면 한 가지쯤은 들어줄 법도 한 코스다. 도시철도 1호선 범어사역에서 남산봉 아랫자락을 돌아 만성암 입구까지 40분 정도를 걷기 싫으면 범어사행 90번 버스를 타고 상마마을에서 내리면 된다. 정류장에서 사자암과 대밭집 앞을 지나 5분이면 등산 들머리인 만성암 입구에 선다. 손씨집 오른쪽 등산.. 2023. 2. 13.
[금정산 365일] 금정산등산코스 - 범어사역 기점. 1. 계명봉-장군봉 | 2. 계명봉 북쪽을 도는 산책 등산로 범어사와 도시철도 1호선 범어사역이 있는 지역은 행정 구역상 금정구 청룡동이다. 1740년(영조 16)에 편찬된에는‘청룡(靑龍)’이라는지명이 없었지만, 1904년 탁지부가 편찬한 에는 청룡동에 33호가 살았다는 기록이 보인다. 또 1937년에 편찬된 에 동래군 북면 청룡리가 나와 오래된 지명은 아닌 듯싶다. 청룡(靑龍)은 불교에서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동쪽에 있는 일곱(角 亢 氐 房 心 尾 箕) 성수(聖宿)를 총칭하며, 사신(四神)의 하나로 동쪽 하늘을 맡은 신(神)을 뜻하기도 한다. 따라서 청룡동은 범어사의 동쪽 마을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것으로 짐작된다. 청룡동의 자연마을은 청룡 용성 신리 상마 하마의 5개로 청룡과 용성마을이 용과 관계가 깊다. 신리마을은 1940년 북면사무소가 기찰(부곡동)에서.. 2023. 2. 8.
반응형